Vercel/Github Page로 Vite 프로젝트 배포하기
·
WEB
풀스택 개발 인턴을 하면서 프론트를 공부할 기회가 생겨 요새 react를 많이 만져보고 있는데, 회사 내 프로젝트에서 신규 프로젝트 배포 자동화가 너무 잘 되어 있었습니다. 개발은 했는데 배포까지 못 해본 게 찜찜해서 프론트 배포에 대해 공부해 보게 되었습니다.github page와 vercel을 이용한 방법을 공부해봤는데 워낙 자동화가 잘 되어있어서 설정을 건드려줄 부분이 많지 않았습니다.github page로 배포할 때 별도로 요금제에 가입되어 있지 않으면 레포지토리를 공개해야 하는데 vercel은 공개하지 않고 배포할 수 있는 부분이 좋았던 것 같습니다. Vercel먼저 프로젝트를 배포하기 전에 깃허브 레포지토리와 연동해 주기 위해 레포지토리를 하나 생성하고 vite 프로젝트를 올려주었습니다. 이제..
AMQP와 RabbitMQ
·
WEB
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대해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조금씩 공부를 해나가고 있습니다. 재밌어 보이는 건 많은데 정말 어렵네요..카프카를 공부하며 어느정도 규모가 있지 않으면 활용하기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. 카프카와는 조금 결이 다르긴 하지만 RabbitMQ도 메세지 큐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공부해보고 있는 중입니다! RabbitMQ는 카프카와는 비교도 안되게 가볍긴 하네욤 메세지 큐가 왜 필요할까?서버에 요청이 급격히 많아지거나 부하가 큰 작업이 수행되면, 서버는 점점 더 많은 자원을 사용하게 되고, 요청 처리 속도가 느려지게 됩니다. 또한, 동기 방식으로 요청을 처리할 경우, 서버의 쓰레드는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점유되어 다른 요청을 받을 수 없습니다. 비동..